성남시민의 생활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지난 사업 평가와 향후 '5분 거리' 공유 공간 운영을 위한 정책 제언
목차
1부. 연구 추진 배경 1
1. 연구 배경 요약 2
2.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와 문화예술정책의 변화 흐름 3
2-1. 한국의 사회경제적 변화 과정 및 문화예술의 변화 3
2-2.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과 문화권(cultural right) 7
(1)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실질적 측정을 통한 결과 7
(2) ‘문화기본법’과 문화권(cultural right) 9
3. 생활SOC와 성남문화재단의 정책적 전환 필요 12
3-1. 생활SOC 사업의 대두 12
3-2. 성남문화재단의 생활문화 정책 전환의 필요성 14
2부. 성남문화재단 생활문화정책 16
1. 성남문화재단 생활문화 정책 전개 양상 17
1-1. 사업 초기 사회 배경과 기본 구상 17
1-2. 도시 정체성 구축 사업의 성장과 굴곡 19
1-3. 생활 SOC와 생활문화공동체 사업 21
2. 생활문화공동체 성과평가 결과 22
1-1. 생활문화공동체 평가 체계화 과정 22
1-2. 2016~2018 생활문화공동체 종합평가 24
(1) 종합성과 개요 24
(2) 종합성과를 통해 보는 정부의 생활문화공동체 개입 논거 26
(3) 종합성과 시사점 32
3. 2018~2021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공동체 공간 조성 계획 33
4. 성남문화재단 생활문화 자원 및 역량 35
4-1. 운영 주체 및 운영 체계와 역량 35
4-2. 하드웨어 38
4-3. 소프트웨어 40
4-4. 휴먼웨어 44
(1) 우리동네문화공동체만들기 참여 마을 44
(2) 사랑방문화클럽네트워크 가입 클럽 45
(3) 지역문화예술활동 지원분야 및 참여단체수 47
3부. 성남 생활문화공동체 현장 인터뷰 50
1. 거점 모델 : 단대동 논골만들기 추진위 성장 과정 51
1-1. 개요 51
(1) 사례 선정 배경 51
(2) 사례 분석 자료 51
1-2. 사례 분석 53
(1) 커뮤니티의 발생 53
(2) 의사결정 구조 개요와 성장과정 54
(3) 주민 의견개진 과정 및 자치 역량 56
(4) 커뮤니티 거점 공간 60
(5) 재정 운영 61
(6) 논골작은도서관 활용 동아리 활동 시간 특성 62
(7) 지역협력 관계망 62
(8) 협업 내용 64
(9) 논골추진위 커뮤니티의 특징 65
1-3. 논골 모델의 시사점 69
2. 성남의 문화예술 활동 공간 활용 경험 분석 71
2-1. 개요 71
(1) 경험분석 배경 및 목적 71
(2) 인터뷰 참여그룹 개요 71
2-2. 인터뷰 참여자 평가 및 기대사항 72
(1) 생활예술 확산에 대한 욕구 및 사회적 필요성 증가 72
(2) 기존 시스템 및 공간 이용의 한계와 문제점 74
(3) 생활예술 활동의 확산을 위한 고려사항 79
2-3. 문화예술 활동 공간 활용 경험 시사점 90
4부. 국내외 참고 사례 연구 92
1. 생활문화공간 사례 연구 – 해외 93
1-1. Art Scape (캐나다 사례) 93
1-2. 영국 사례 102
1-3. 기존 해외 사례 연구 발췌 요약 104
1-4. 해외 사례의 시사점 107
2. 생활문화공간 사례 연구 – 국내 109
2-1. 국내 생활문화시설의 종류와 설치 현황 109
2-2. 법정 생활문화시설 운영 현황 및 특징 111
2-3. 기타 국내 생활문화시설 사례 113
2-4. 국내 사례 시사점 118
5부. 성남 생활밀착형 문화공간 조성 전략 120
1. 성남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공동체 공간 조성 방향 121
1-1.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공동체 공간의 의미 121
1-2. 사업 추진체계 혁신 및 체계화의 중요성 123
(1) 문화권과 생활밀착형 문화공간 조성 추진체계의 관계 123
(2) 성남문화재단 생활밀착형 문화공간 조성 사업 추진체계 개념 124
2.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공동체 공간 구현 방법론 127
2-1. 정책 프레임 워크의 문제 127
(1) 15개 공간의 구조적 관계 127
(2) 통합적인 공간 정체성의 문제 127
2-2. 분산 공간의 공통성과 개별성 (운영체제 가이드) 129
(1) 공간 운영체제의 공통 뼈대 129
(2) 개별 공간의 운영모델 유형화 130
2-3. 공간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검토 이슈 132
(1) 공간 이용계약의 문제 132
(2) 지역에서의 생활문화 민간전문단체 육성 및 지원의 문제 132
(3) 영리 모델 도입의 문제 133
(4) 운영 비용의 문제 133
성남시민의 생활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지난 사업 평가와 향후 '5분 거리' 공유 공간 운영을 위한 정책 제언
목차
1부. 연구 추진 배경 1
1. 연구 배경 요약 2
2.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와 문화예술정책의 변화 흐름 3
2-1. 한국의 사회경제적 변화 과정 및 문화예술의 변화 3
2-2.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과 문화권(cultural right) 7
(1)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실질적 측정을 통한 결과 7
(2) ‘문화기본법’과 문화권(cultural right) 9
3. 생활SOC와 성남문화재단의 정책적 전환 필요 12
3-1. 생활SOC 사업의 대두 12
3-2. 성남문화재단의 생활문화 정책 전환의 필요성 14
2부. 성남문화재단 생활문화정책 16
1. 성남문화재단 생활문화 정책 전개 양상 17
1-1. 사업 초기 사회 배경과 기본 구상 17
1-2. 도시 정체성 구축 사업의 성장과 굴곡 19
1-3. 생활 SOC와 생활문화공동체 사업 21
2. 생활문화공동체 성과평가 결과 22
1-1. 생활문화공동체 평가 체계화 과정 22
1-2. 2016~2018 생활문화공동체 종합평가 24
(1) 종합성과 개요 24
(2) 종합성과를 통해 보는 정부의 생활문화공동체 개입 논거 26
(3) 종합성과 시사점 32
3. 2018~2021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공동체 공간 조성 계획 33
4. 성남문화재단 생활문화 자원 및 역량 35
4-1. 운영 주체 및 운영 체계와 역량 35
4-2. 하드웨어 38
4-3. 소프트웨어 40
4-4. 휴먼웨어 44
(1) 우리동네문화공동체만들기 참여 마을 44
(2) 사랑방문화클럽네트워크 가입 클럽 45
(3) 지역문화예술활동 지원분야 및 참여단체수 47
3부. 성남 생활문화공동체 현장 인터뷰 50
1. 거점 모델 : 단대동 논골만들기 추진위 성장 과정 51
1-1. 개요 51
(1) 사례 선정 배경 51
(2) 사례 분석 자료 51
1-2. 사례 분석 53
(1) 커뮤니티의 발생 53
(2) 의사결정 구조 개요와 성장과정 54
(3) 주민 의견개진 과정 및 자치 역량 56
(4) 커뮤니티 거점 공간 60
(5) 재정 운영 61
(6) 논골작은도서관 활용 동아리 활동 시간 특성 62
(7) 지역협력 관계망 62
(8) 협업 내용 64
(9) 논골추진위 커뮤니티의 특징 65
1-3. 논골 모델의 시사점 69
2. 성남의 문화예술 활동 공간 활용 경험 분석 71
2-1. 개요 71
(1) 경험분석 배경 및 목적 71
(2) 인터뷰 참여그룹 개요 71
2-2. 인터뷰 참여자 평가 및 기대사항 72
(1) 생활예술 확산에 대한 욕구 및 사회적 필요성 증가 72
(2) 기존 시스템 및 공간 이용의 한계와 문제점 74
(3) 생활예술 활동의 확산을 위한 고려사항 79
2-3. 문화예술 활동 공간 활용 경험 시사점 90
4부. 국내외 참고 사례 연구 92
1. 생활문화공간 사례 연구 – 해외 93
1-1. Art Scape (캐나다 사례) 93
1-2. 영국 사례 102
1-3. 기존 해외 사례 연구 발췌 요약 104
1-4. 해외 사례의 시사점 107
2. 생활문화공간 사례 연구 – 국내 109
2-1. 국내 생활문화시설의 종류와 설치 현황 109
2-2. 법정 생활문화시설 운영 현황 및 특징 111
2-3. 기타 국내 생활문화시설 사례 113
2-4. 국내 사례 시사점 118
5부. 성남 생활밀착형 문화공간 조성 전략 120
1. 성남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공동체 공간 조성 방향 121
1-1.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공동체 공간의 의미 121
1-2. 사업 추진체계 혁신 및 체계화의 중요성 123
(1) 문화권과 생활밀착형 문화공간 조성 추진체계의 관계 123
(2) 성남문화재단 생활밀착형 문화공간 조성 사업 추진체계 개념 124
2.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공동체 공간 구현 방법론 127
2-1. 정책 프레임 워크의 문제 127
(1) 15개 공간의 구조적 관계 127
(2) 통합적인 공간 정체성의 문제 127
2-2. 분산 공간의 공통성과 개별성 (운영체제 가이드) 129
(1) 공간 운영체제의 공통 뼈대 129
(2) 개별 공간의 운영모델 유형화 130
2-3. 공간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검토 이슈 132
(1) 공간 이용계약의 문제 132
(2) 지역에서의 생활문화 민간전문단체 육성 및 지원의 문제 132
(3) 영리 모델 도입의 문제 133
(4) 운영 비용의 문제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