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출판물

연구소에서는 일생활균형과 관련된  정책 발굴을 선구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일생활균형 조건과 결정과정에 필요한 사회환경 조성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자료실에서는 연구소의 연구 자료 및 출판물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계약 및 법령에 의해서 대외비 자료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2018년성남 생활문화정책 평가 및 발전 방안-생활밀착형 문화예술공동체 공간 조성 전략-

LUCY
2020-12-08
조회수 1394


성남시민의 생활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지난 사업 평가와 향후 '5분 거리' 공유 공간 운영을 위한 정책 제언


1부. 연구 추진 배경 1

1. 연구 배경 요약 2

2.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와 문화예술정책의 변화 흐름 3

2-1. 한국의 사회경제적 변화 과정 및 문화예술의 변화 3

2-2.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과 문화권(cultural right) 7

(1)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실질적 측정을 통한 결과 7

(2) ‘문화기본법’과 문화권(cultural right) 9

3. 생활SOC와 성남문화재단의 정책적 전환 필요 12

3-1. 생활SOC 사업의 대두 12

3-2. 성남문화재단의 생활문화 정책 전환의 필요성 14

 

2부. 성남문화재단 생활문화정책 16

1. 성남문화재단 생활문화 정책 전개 양상 17

1-1. 사업 초기 사회 배경과 기본 구상 17

1-2. 도시 정체성 구축 사업의 성장과 굴곡 19

1-3. 생활 SOC와 생활문화공동체 사업 21

2. 생활문화공동체 성과평가 결과 22

1-1. 생활문화공동체 평가 체계화 과정 22

1-2. 2016~2018 생활문화공동체 종합평가 24

(1) 종합성과 개요 24

(2) 종합성과를 통해 보는 정부의 생활문화공동체 개입 논거 26

(3) 종합성과 시사점 32

3. 2018~2021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공동체 공간 조성 계획 33

4. 성남문화재단 생활문화 자원 및 역량 35

4-1. 운영 주체 및 운영 체계와 역량 35

4-2. 하드웨어 38

4-3. 소프트웨어 40

4-4. 휴먼웨어 44

(1) 우리동네문화공동체만들기 참여 마을 44

(2) 사랑방문화클럽네트워크 가입 클럽 45

(3) 지역문화예술활동 지원분야 및 참여단체수 47

 

3부. 성남 생활문화공동체 현장 인터뷰 50

1. 거점 모델 : 단대동 논골만들기 추진위 성장 과정 51

1-1. 개요 51

(1) 사례 선정 배경 51

(2) 사례 분석 자료 51

1-2. 사례 분석 53

(1) 커뮤니티의 발생 53

(2) 의사결정 구조 개요와 성장과정 54

(3) 주민 의견개진 과정 및 자치 역량 56

(4) 커뮤니티 거점 공간 60

(5) 재정 운영 61

(6) 논골작은도서관 활용 동아리 활동 시간 특성 62

(7) 지역협력 관계망 62

(8) 협업 내용 64

(9) 논골추진위 커뮤니티의 특징 65

1-3. 논골 모델의 시사점 69

2. 성남의 문화예술 활동 공간 활용 경험 분석 71

2-1. 개요 71

(1) 경험분석 배경 및 목적 71

(2) 인터뷰 참여그룹 개요 71

2-2. 인터뷰 참여자 평가 및 기대사항 72

(1) 생활예술 확산에 대한 욕구 및 사회적 필요성 증가 72

(2) 기존 시스템 및 공간 이용의 한계와 문제점 74

(3) 생활예술 활동의 확산을 위한 고려사항 79

2-3. 문화예술 활동 공간 활용 경험 시사점 90

 

4부. 국내외 참고 사례 연구 92

1. 생활문화공간 사례 연구 – 해외 93

1-1. Art Scape (캐나다 사례) 93

1-2. 영국 사례 102

1-3. 기존 해외 사례 연구 발췌 요약 104

1-4. 해외 사례의 시사점 107

2. 생활문화공간 사례 연구 – 국내 109

2-1. 국내 생활문화시설의 종류와 설치 현황 109

2-2. 법정 생활문화시설 운영 현황 및 특징 111

2-3. 기타 국내 생활문화시설 사례 113

2-4. 국내 사례 시사점 118

 

5부. 성남 생활밀착형 문화공간 조성 전략 120

1. 성남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공동체 공간 조성 방향 121

1-1.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공동체 공간의 의미 121

1-2. 사업 추진체계 혁신 및 체계화의 중요성 123

(1) 문화권과 생활밀착형 문화공간 조성 추진체계의 관계 123

(2) 성남문화재단 생활밀착형 문화공간 조성 사업 추진체계 개념 124

2. 생활밀착형 문화예술 공동체 공간 구현 방법론 127

2-1. 정책 프레임 워크의 문제 127

(1) 15개 공간의 구조적 관계 127

(2) 통합적인 공간 정체성의 문제 127

2-2. 분산 공간의 공통성과 개별성 (운영체제 가이드) 129

(1) 공간 운영체제의 공통 뼈대 129

(2) 개별 공간의 운영모델 유형화 130

2-3. 공간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검토 이슈 132

(1) 공간 이용계약의 문제 132

(2) 지역에서의 생활문화 민간전문단체 육성 및 지원의 문제 132

(3) 영리 모델 도입의 문제 133

(4) 운영 비용의 문제 133